성경 재장전

창세기 26장 { 부전자전!! } 본문

기원(Genesis)

창세기 26장 { 부전자전!! }

Think teller 2020. 12. 8. 14:59

▣ 성경 참조

bible.godpia.com/read/reading.asp?calDate=&seq=1&ver=gae&ver2=&vol=gen&chap=26&vol2=&chap2=#gobody

 

GODpia 성경

GODpia 성경, 갓피아 성경

bible.godpia.com

 


 

▣ 어디선가 봤던 똑같은 상황

 

어디서 봤을까요? 창세기 26장을 시작하면서 이삭은 그랄로 갔다고 되어 있고, 이는 자신의 아버지 아브라함을 이끌었던 여호와가 지시한 땅이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하 내용들은 여호와가 이삭에게 하는 약속도 아브라함에게 했던 것과 같고, 또한 그랄에 도착한 이후 이삭의 행동들도 아버지인 아브라함이 했던 행동들과 굉장히 똑같습니다. (창세기 20장 참조)

 

특히 아름다웠다고 기록되어 있는 리브가, 낯선 땅에서 자신의 아내 때문에 본인이 죽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부분과 누이동생이라고 속인 것은 완전 똑같습니다.

 

아무튼 다행히도 이삭이 거주하던 그 지역의 왕은 우연히 리브가와 이삭이 부부라는 것을 알게 되어 그 지역 사람들에게 이삭의 아내를 범하는 것에 대한 금지령을 내리게 되네요.

 

아무튼 이런 기록을 보면 그랄이라는 지역에서 이삭도 꽤나 이름이 잘 알려져 있고, 한 지역의 왕도 경계해야 할 정도의 세력을 갖추고 있다고 생각해도 무리는 없을 듯합니다. 아무래도 아브라함의 장자이기 때문에 그런 이유도 분명히 거들고 있는 것 같네요. 

 

 

▣ 왕이 찾아오다

 

이삭은 왕이 떠나 달라고 하는 부탁을 받고 떠나고 그 지역의 사람들은 이삭이 매사에 잘되고 풍족하게 되는 것을 보고 시기하여 아브라함 때 사용하던 우물을 막아버립니다.

 

이삭은 그들과 다투지 않고 피해서 브엘세바로 가서 여호와의 이름을 부르기 위한 제단을 쌓고, 우물을 파며 장막을 치고 정착합니다.

 

다시 한번 이삭의 세력이 대단하다고 느껴지는 것은 26절부터입니다. 그랄의 블레셋 왕은 그의 군대 장관을 데리고 직접 이삭을 찾아갔다고 되어 있네요. 그리고는 왕이 이삭에게 우리를 해치지 말아 달라고 부탁하며 일종의 조약을 맺기를 간청한다고 볼 수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왕이 일개 개인을 직접 찾아와서 말하는 걸 보면 간청이라 봐도 무방하겠죠? 아무튼 이렇게 약속을 받아냅니다.

 

이삭의 아버지 아브라함의 때부터 사용하던 우물을 막아버린 것에 대해 화를 내어도 그 정당성을 충분히 인정받을 수 있었던 상황으로 보이지만 이삭은 다투지 않고 새로운 우물을 파서 정착할 정도로 싸움을 피하는데도 불구하고 왕은 안심할 수가 없었던가 봅니다. 특히 왕은 이삭에게 약속을 요구하며 여호와께서 이삭과 함께 하는 것을 분명히 보았다고 말하며 우리를 해치지 말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시간이 흘러 에서가 40세 (그럼 야곱도 40세.)

 

시간이 흘러 에서가 40세가 되었다고 34절에 기록이 되어 있습니다. 그러면 이삭의 나이는 무조건 80세 이상이겠네요. 이삭이 40세에 리브가와 결혼을 했지만 한동안 임신을 못한 리브가에 대한 내용이 나왔으니 정확한 나이는 모르겠지만 80세는 넘겠네요.

 

이런 고대시대에 40세에 정식 결혼을 하는 것을 보면 이 가문만의 전통인 것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고대시대는 더 일찍 결혼하지 않나 하고 의문이 들지만, 그냥 나의 편견인가 싶기도 하고 그렇네요. 

 

아무튼 에서도 40세에 아내를 얻었다고 되어 있네요. 에서는 헷족속의 딸 2명을 아내로 맞이하게 되고 이것이 이삭과 그의 아내 리브가의 마음에 근심이 되었다고 되어 있습니다.

 

이삭의 아내를 찾을 당시 이방 민족에게서 아내를 찾지 말고 아버지 아브라함 가문의 딸들 중에서 아내를 맞이하라고 했던 것이 그 근심의 배경이 되지 않을까요? 또한 아브라함이 그렇게 이삭의 아내를 구한 것도 이방의 문화, 적나라하게 이야기하면 자신을 이끈 여호와라는 신에 반하는 이방신에 대한 문화가 아브라함의 가문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한 큰 그림이 있기 때문에 분명 그렇게 한 것(자신의 가문에서 아들 이삭의 아내를 구하는 것)일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에서는 '그냥' 그 지방 민족의 딸들을 아내로 맞이 합니다. 이삭이 좋아한 아들 에서이기 때문에 이 아들의 막무가내 행동은 더욱 근심이 되었겠네요.

 

야곱과 에서의 팥죽 사건으로도 보아서 알겠지만 에서가 성격이 막무가내인 건 맞으니까요. 아마 별 생각도 없이 그렇게 아내를 맞이했을 것이 뻔합니다. 

   


 

창세기 27장에서는 이삭의 축복으로 인해 아들 에서와 야곱이 원수가 되는 내용입니다.

27장 포스팅에서 뵐게요~!!   

 

 

Comments